본문 바로가기
육아하는 엄마

2025년 전국 공통 출산 후 혜택 총정리

by 행복한뚜지 2025. 5. 14.
반응형

오늘은 2025년부터 새롭게 추가되고 변경된 전국 공통 출산 후 혜택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출산을 앞두고 계신 분들, 이미 출산하신 분들께 모두 유용한 정보니 끝까지 집중해 주세요!

 

 

 

1. 첫만남 이용권

출산하는 모든 아동에게 지급되는 첫만남 이용권! 첫째 200만 원, 둘째 이상 300만 원, 쌍둥이를 첫 아이로 출산 시 500만 원 지급됩니다. 2025년부터는 사용 기간과 범위 제한 없이 지급되며, 출생신고와 동시에 자동 신청됩니다.

 

 

 

2. 부모 급여

만 0세 아동에게 월 100만 원, 만 1세 아동에게는 월 50만 원을 지급합니다. 보육기관을 이용해도 지급되며, 보육료 차감 후 차액을 지급합니다.

 

 

 

3. 양육 수당

부모 급여 종료 시점(24개월)부터 최대 86개월까지 월 10만 원 지급됩니다. 단, 보육기관 이용 시 중복 지원은 불가합니다.

 

 

 

 

 

4. 아동수당

8세 미만 아동에게 월 10만 원 지급됩니다. 보육기관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중복 지원이 가능합니다.

 

 

 

5. 산모 신생아 건강 관리 지원

산후 도우미 서비스로 알려진 제도로, 출산 순위, 소득 수준에 따라 본인 부담금이 달라지니 거주지 보건소에 문의하세요.

 

 

 

6.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소득과 무관하게 지원되며, 지원 한도는 최대 1천만 원까지 상향되었습니다.

 

 

 

 

 

7. 출산 가구 전기료 감면

출생일로부터 3년간 월 전기요금 30% 할인 혜택이 제공됩니다. 한전 고객센터(123번)나 인터넷으로 신청 가능하며, 아파트 거주자는 관리실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8. 저소득층 기저귀·조제 분유 지원

영유아 1인당 기저귀 월 9만 원, 조제 분유 월 11만 원을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포인트로 3개월 단위 지급합니다.

 

 

 

9. 배우자 출산 휴가

배우자 출산 휴가가 기존 10일에서 20일로 확대되었습니다. 전 기간 유급으로 제공되며, 중소기업 근로자는 정부가 전액 지원합니다. 최대 4번 분할 사용 가능하고 출산 후 120일 이내 사용해야 합니다.

 

 

 

 

 

10. 육아 휴직 기간 확대 및 급여 인상

부모 각각 3개월 이상 사용 시 최대 1년 6개월까지 육아 휴직이 가능합니다. 급여는 첫 3개월 월 최대 250만 원, 이후 3개월 월 최대 200만 원, 나머지 6개월 월 최대 160만 원 상한으로 지급됩니다. 2025년부터는 사후 지급금도 폐지됩니다.

 

 

 

11.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

초등학교 6학년 이하 또는 만 12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1년 이내 근로 단축 시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2.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확대

맞벌이 가정 등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을 대상으로 만 12세 이하 아동에게 돌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200% 이하 가정이 대상이며, 다자녀 가정은 본인부담금의 10% 추가 지원을 받습니다.

 

 

 

 

 

13. 다자녀 자동차 취득세 감면

다자녀 가정 자동차 취득세 감면 혜택이 기존 3자녀에서 2자녀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세 자녀 이상 가정은 취득세 전액 면제, 두 자녀 가정은 50% 경감됩니다.

 

 

 

마무리

오늘은 이렇게 2025년 전국 공통 출산 후 혜택에 대해 모두 정리해 드렸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지자체별 출산 혜택을 알려드릴 예정이니 기대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지자체별 출산 혜택 확인하기

 

2025년 지자체 출산 후 혜택 총정리

출산 후 혜택 신청 방법1.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출생 신고 시 원스톱 신청)2. 온라인 신청: 포털에서 "행복 출산" 검색 → 정부24 원스톱 서비스 이용 지난 포스팅에서 이미 전국 공통 출산 후

happytoday1103.com

 

반응형

댓글